과거의 성장 동력을 잃기 시작한 중국,
‘중진국 함정’을 피해 갈 수 있을까?
2015~2016년, 이 책의 저자들은 중국의 농촌에서 ‘이상 징후’를 느꼈다. 그전까지 농촌에서는 도저히 찾기 힘들었던 젊고 건강한 사람들을 이제는 흔하게 볼 수 있게 된 것이었다. 도시의 직장에서 일하던 사람들이 일자리를 잃고, 고향에 돌아와 있었다.
1980년대 이후
매일 매일을 채운 생생한 역사의 소리를 듣는다
매일의 사건들이 켜켜이 쌓여 역사를 이룬다. 고대에서 중세를 거쳐 현대에 이르기까지 1월 1일부터 12월 31일 사이엔 무수한 역사의 순간이 존재했고, 그 순간 누군가의 입에서 나온 ‘말’은 단박에 역사 속 ‘그 날’을 파고들게 해준다. 이 책에 담긴 366개의 인용문은 실제로 그날 누군가가 말했거나 그날 일
‘우리-나’가 아니라 ‘나-우리-나’
퇴행이 아니라, 상승(업스윙Upswing)을 분석하라
실제로 퍼트넘이 새로이 발굴한 용어인 ‘사회적 자본(social capital)’이 분석의 중요한 도구가 되고, 그의 역작들(「나 홀로 볼링」, 「우리 아이들」)이 고전의 반열에 오른 지금도 현실은 그다지 달라지지 않았다. 미국 사회는 여전히 지독한 분열의 상
일본 100만 부 베스트셀러 시리즈
《나는 옐로에 화이트에 약간 블루》 브래디 미카코 신작!
“엠퍼시라는 상상력을 통해 나와 너의 세계가 만날 수 있음을,
혐오와 편견을 넘어설 수 있음을 보여준다.”
김원영 변호사·이길보라 감독 강력 추천!
‘엠퍼시(empathy)’를 ‘공감’으로 번역해도 괜찮을까?
공감할 수 없는 타인을 이해하는 열쇠,
우리가 겪는 심리적 문제와 그 원인
가장 신뢰 받는 심리학자의 시각을 보다
미국의 유명 신경과학자 조지프 르두(Joseph E. LeDoux)는 EBS의 강연 시리즈 〈위대한 수업 GREAT MINDS〉에서 이렇게 이야기했다. “1949년 이후 모든 세대가 자신들이 가장 불안하다고 여겨왔다.” 공포의 뇌과학으로 유명한 그는 인간이 느끼는 불안이 사실
인간의 욕망과 뒤얽힌 명화는 어떻게
부를 창조하고 역사를 발전시켰나?
‘명화가 시대마다 시스템과 패러다임을 바꾸며 변화를 추동하고 역사를 발전시킨다’라고 말하면 과장이라고 생각하는 독자가 있을지 모르겠다. 그러나 이는 분명한 사실이다. 이 책 『부의 미술관』에서 독자는 8개 장마다, 그리고 페이지 페이지마다 인간의 욕망과 뒤얽힌 명화가 어떻게 부를
★ 숫자에 관한 ‘감각’을 ‘근거’로 바꿔주는 실용적인 통계 이야기!
일상생활에서 숫자에 관한 ‘감각’이 필요한 때가 자주 있습니다! 보통 정확하게 계산하기 어렵거나 귀찮지만, 숫자를 보고 무언가 판단이나 결론을 내려야 하는 상황이죠. 이럴 때 올바른 판단이나 결론을 잘 내리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대화를 나누다 보면 스스로 느끼지 못하더라도 본능적으로 통
환경파괴와 인권파괴의 연계,
이 야누스의 비극은 어떻게 일어나는가?
지구행성 전체는 하나의 단위로 작동되고 있기에 국경선에 한정해서는 환경위기나 인권침해의 문제를 온전히 돌아볼 수 없다. 무엇보다 환경파괴와 인권파괴는 한 몸에 두 얼굴을 가진 야누스처럼 서로 연계된 비극으로 나타난다. 1장에서는 역사적 이해와 세계적인 조망 속에서 환경-인권 위기의
이야기의 중추는 긴장감이다!
긴장을 이용해 이야기가 끝날 때까지 독자들을 몰아쳐라!
웹툰, 웹소설, 드라마, 영화 등 컨텐츠가 넘쳐나는 요즘, 독자들은 이야기가 조금이라도 늘어지거나 지지부진해지면 바로 다른 이야기를 찾아 떠난다. 독자들은 후반에 나올 흥미진진한 순간을 위해 길고 지루하게 이어지는 전반부를 견디지 못한다. 그렇다면 독자들을 내 이야기
교리문답(그리스어 κατ?χησι?; 라틴어 catechismus, catechesis - 구두로 주어진 가르침, 구두교시)은 초보 그리스도인이나 세례 희망자들을 위한 짧은 신앙 교재로서, 기독교 교리의 기초적 내용들을 담은 지침서이고, 기독교 교리 문학의 한 장르입니다. 초기 기독교에서는 세례 준비자들을 위한 구두교시를 교리문답이라고 불렀습니다. 즉 신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