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독신청
  • 더티 워크
    이얼 프레스 한겨레출판사
    “그들은 폭력의 가해자일까, 시스템의 도구일까?” 더티 워커의 도덕적 외상과 끝없는 트라우마, 이를 방치시키는 권력의 공모 관계 총 4개의 파트로 구성되어 있는 이 책은, 작가 리베카 솔닛이 소개한 바와 같이 “사회를 떠받치는 일련의 잔인한 산업에서 ‘노동이 도덕 원칙을 사보타주하는’ 상황을 고발”하며 “사회적 희생양이 된 사람들과 이를 감추는 힘
  • 항미원조
    백지운 창비
    항미원조 서사의 부침과 뒤늦은 귀환 제1장 ‘의도된 망각’에서는 먼저 근래 10여년 사이에 급변한 중국 내 여론을 짚는다. 2020년 BTS의 ‘밴플리트상’ 수상소감에 중국 네티즌이 강력한 반감을 보인 사건은 그 몇년 전까지만 해도 상상할 수 없는 일이었다. 1960년대 본격화된 중국과 소련의 갈등으로 시작된 미국과 중국의 화해와 수교는 상호 경제성장으로
  • 조선미의 현실 육아 상담소
    조선미 북하우스
    ‘과도한 마음 읽기’에서 ‘균형 잡힌 육아’로, 육아 패러다임을 바꾸는 조선미 교수의 자녀교육 가이드 30년 임상 경험과 훈육 노하우를 한 권에 담았다! ‘우리 아이는 왜 이러는 걸까?’ 징징대고 떼쓰고 말 안 듣고 고집을 부리는 아이 때문에 매일같이 육아 전쟁을 치르는 부모들이 많다. 갖가지 육아 지식과 정보를 부지런히 찾아보는데도, 부모들에게
  • 핑크는 여기서 시작된다
    최설 창비
    철부지 여중생 아니에요 우리도 생각이 있는 ‘사람’입니다 최설 시인의 청소년시에는 “여성 어른이 아닌 여중생 사람의 목소리”(이근화, 「발문」)가 있다. 그리고 그 목소리의 주인공인 “하트만 봐도 발그레한” 수줍은 청소년(「있다」), “아무도 들어 주지 않고/아무도 쳐다보지 않”아도 “나를 사랑해” 주는 청소년(「혼잣말」), 윗집 오빠를 우연히 마주
  • 일본 도자기 여행: 규슈의 8대 조선가마
    조용준 도도
    조선 찻사발에 매료된 도요토미 히데요시 수많은 조선 사기장을 납치해가다 일본 도자기의 시작을 말할 때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열등감과 조선 사기장 이삼평의 백자광 발견을 빼놓을 수 없다. 도요토미 히데요시는 자신의 미천한 출신을 숨기고 다이묘들을 효과적으로 통치하기 위해 차와 찻잔, 다도를 이용했고 특히나 조선 찻사발을 몹시 갖고 싶어 했다. 임진왜란에 참
  • 회복하는 마음
    박상희 상상출판
    “자신을 사랑할 때 과거에서 벗어날 수 있다” 홀로 아픈 사람들을 위한 마음 처방 박상희가 만난 25인의 사연 그리고 치유의 여정 “나는 그들의 상담사였지만, 그들은 내 삶의 스승이기도 했다. 결코 포기하지 않고 살아내려고 했던 그들로부터 삶에 대해 더 많이 배운 사람은 바로 나였다.” 이 책에는 내담자의 동의를 얻은 다양한 사례가 등장한
  • 탄소버블
    박진수 루아크
    탄소버블의 시대, 우리는 정말 넷제로 사회로 나아갈 수 있을까? “2040년의 세계는 우리가 상상해온 미래와는 사뭇 달랐다. 기술적으로는 분명 더 편리해졌지만 일상에서 체감하는 삶의 질은 그리 높지 않았다. 야외 활동, 이를테면 친구들과 한강공원에서 간식을 먹으며 여유를 즐기는 일이 불가능한 것은 아니지만, 한파나 폭염 때문에 야외 활동이 가능한 날
  • 과학잡학사전 통조림: 일반과학편
    사마키 다케오 사람과나무사이
    과학 지식을 쌓으려면 통째로, 조목조목! ‘과ㆍ알ㆍ못’에서 벗어나 ‘과ㆍ잘ㆍ알’로 거듭나고 싶다면 1일 1페이지 365가지 과학 지식을 ‘통ㆍ조ㆍ림’으로 익혀라! 효과적으로 과학 지식을 익히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통ㆍ조ㆍ림’으로 익히면 효과적이다. ‘통ㆍ조ㆍ림’이란 ‘통째로-조목조목 과학 지식 습득법’을 말한다. 즉, 유익한 과학 지식이 담
  • 디베이터
    서보현 문학동네
    영어 한마디 못하던 소년에서 한국인 최초 하버드대 토론팀 코치가 되기까지, 토론이라는 세계를 만나며 가닿은 빛나는 이정표들 만 여덟 살 때 한국을 떠나 가족과 함께 호주로 이민을 간 저자는 언어적·문화적 장벽에 부딪히며 짓궂은 아이들의 놀림감이 되곤 했다. 또래 아이들과 부딪칠 때마다 생각을 속시원히 표현하지 못해 괴로웠다. 때로는 감정에 호소하고
  • 우리는 왜 임영웅을 사랑하는가
    조위 한스미디어
    ‘임영웅’이라는 장르는 어떻게 탄생되었나 혜성같이 등장한 트로트 스타에서 대한민국 대중음악계의 ‘뉴 웨이브’를 만든 대형 가수가 되기까지 임영웅의 음악 세계와 그 파장을 탐색한 첫 번째 시도! 가수 임영웅의 음악 세계를 분석한 책이 최초로 출간됐다. 바로 『우리는 왜 임영웅을 사랑하는가』다. 임영웅은 2020년에 방영된 TV조선 〈미스터트롯
맨 위로
매일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