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독신청
열두 살 경제 놀이터 1: 돈의 원리
이효석,이하윤 페이지2북스
15,000
책 소개

돈 쓰는 아이 VS 돈 모으는 아이

초등 경제 머리가 쑥쑥!
한 권으로 끝내는 빠르고 바른 경제관념 키우기!

『열두 살 경제 놀이터』는 초등학생이 술술 읽어 나갈 수 있도록 쉽게 쓰여졌지만, 초등 경제 개념은 이 책 한 권으로 충분할 정도로 다양한 소재를 담고 있다. ‘예금’, ‘이자’, ‘환전’ 등 생활하며 겪게 되는 일상 소재부터 ‘환율’, ‘금리’, ‘양적완화’ 등 뉴스에서 접하는 고난도 경제 개념까지 한 데 묶었다.
어려운 개념은 실생활에서 찰떡같은 사례를 찾아 비유하는 방법으로 이해도를 높였다. 예를 들어 ‘환율’은 시소에 비유해 나라 간 돈의 가치가 다르다는 것을 알려주었고, ‘금리’는 ‘돈의 인기를 나타내는 숫자’로 간단하게 설명했다. 또 부루마블 게임을 하다가 돈이 떨어지자 은행에서 200만 원씩 나눠 갖자고 제안하는 장면은 시중에 현금을 공급하는 ‘양적완화’를 설명하는 예시로 쓰였다. 아이들에게 경제를 알려주고 싶었지만 어떤 방식으로 접근해야 할지 막막했던 부모라면 이 책에 나온 아빠와 딸의 일상 대화를 통해 그 답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아이에게 선물하고, 엄마가 몰래 보는
눈과 귀가 뚫리는 진짜 경제 입문서

“엄마, 주식이 뭐야?”라는 질문을 받는다면 당황하지 않을 수 있을까? 아이가 알았으면 하는 개념이지만, 어떻게 설명해야 할지 모르겠다면 이 책을 참고하길 바란다. ‘국내총생산’, 애덤 스미스의 ‘보이지 않는 손’, ‘규모의 경제’ 등 듣기만 해도 딱딱한 경제용어가 마법처럼 일상에 녹아들 것이다.

저자 소개

저자(글) 이효석

증권/주식투자전문가
아빠

『나는 당신이 주식 공부를 시작했으면 좋겠습니다』의 저자 이효석은 투자자들의 편에 서서 경제를 소개해 주는 친절한 애널리스트로 유명하다. 230만 경제 1위 유튜브 채널 「삼프로TV」에 출연했을 때도 ‘가슴을 울리는 인생 강의’라는 평을 받으며 그 진정성을 인정받았다. 투자자들에 대한 남다른 애정은 이번 책에서도 이어진다.
교보악사자산운용에서 헤지펀드를 운용하면서 쌓은 경험과 노하우로 투자자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주는 리서치를 하고 있다. 2015년 포브스코리아 선정 ‘한국의 젊은 파워리더’에 선정된 바 있으며, SK증권에서 자산전략 팀장을 지냈다. 현재는 핀테크 스타트업 업라이즈에서 인플루언서로 활동하고 있다.
16만 개인 유튜브 채널 「이효석아카데미」를 통해 ‘효친’들과 글로벌 증시 시황을 나누며 활발하게 소통하고 있고, 네이버 프리미엄 콘텐츠 채널을 통해 알짜 정보를 전달하는 등 계속해서 새로운 도전을 이어가고 있다.

ㆍㆍㆍ 유튜브 | 이효석아카데미
youtube.com/@hs_academy

ㆍㆍㆍ 네이버 프리미엄콘텐츠 | 이효석아카데미
contents.premium.naver.com/hsacademy/hsacademy1

저자(글) 이하윤

경제학자


‘금리’를 ‘금니’로 받아들이는 열두 살 장난꾸러기 딸이다.
아빠의 유튜브 방송을 유심히 지켜보곤 했지만 경제와 친해지진 못하던 중 아빠와 함께 책 『열두 살 경제 놀이터』를 함께 쓰고, 읽으며 점점 경제의 재미를 알아가고 있다.

목차

들어가는 말 | 경제 속에는 ‘거래’가 있다

-
제1장. 모든 거래의 시작은 ‘돈’이다
-
1. 돈 - 돈이 뭐길래 모두 부자를 꿈꾸는 걸까요?
2. 화폐 - 가치를 눈으로 볼 수 있어요
3. 가치 - 가치는 상황에 따라 달라져요
4. 가격 - 가격을 결정하는 두 가지 요소

-
제2장. 돈에도 가격이 있다
-
1. 돈의 가격 - ‘돈의 가격’은 계속 달라진대요!
2. 금리 - 돈의 인기를 나타내는 숫자
3. 환율 - 어떤 나라의 돈이 더 인기 있을까요?
4. 물가 - 물건의 가격이 다 같이 움직여요

-
제3장. 눈에 보이지 않는 돈
-
1. 할부 - 비싼 물건은 돈을 나눠서 내요
2. 신용 - 돈 좀 빌려주세요!
3. 통화량 - 세상에 돌아다니는 돈
4. 호황과 불황 - 경기는 좋았다, 나빴다를 반복해요

-
제4장. 돈을 관리하는 중앙은행과 정부
-
1. 중앙은행 - 은행도 은행이 필요해요
2. 한국은행 - 목표는 물가의 안정
3. 양적완화 - 금리를 더 이상 내릴 수 없다고요?
4. 시장 실패 - 시장이 멈추면 정부가 도와줘요
5. 재정 정책 - 경제를 살리기 위한 정부의 긴급 처방

맨 위로
매일경제